가명정보 활용 방향 2020년 3월 29일 2,637 0 데이터 3법 개정에 따라 개인정보를 가명처리하여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인정보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가명정보는 개인정보의 범위에 속하고 있으나 가명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 및 프라이버시 침해 및 부정 이용에 대한 제도적 보완 없이 이를 활용할 수…
ISO / IEC 20889 : 2018 (in) 프라이버시 강화 데이터 비식별화 용어 및 기술 분류 2019년 3월 26일 3,210 0 "빅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자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면 주요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이 데이터에 개인 식별 정보 (PII)가 포함 된 경우에는 종종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용 가능한 개인 데이터 보호 원칙을…
GDPR이 국제 건강 관련 데이터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10 가지 방법 2018년 10월 20일 2,188 0 2018년 5월 25일 유럽연합(EU) 전역에서 완전한 법적 효력을 발휘한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s)은 국민의 개인 데이터의 수집, 사용 및 국경 간 공유와 관련된 국제 보건 연구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와 달라진것 없는 개인정보 활용 정책 2018년 9월 1일 2,080 0 정부가 그동안 데이터 활용에 걸림돌이 됐던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정보'의 개념을 '익명정보'와 '가명정보'로 명확하게 법률에서 구분해 명시한다. 가명정보에 대한 활용 범위도 확대했다. 31일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경제 활성화 규제혁신안'은 개인을 알아볼 수…
아직도 만연한 개인정보 안전불감증 2018년 7월 5일 1,878 0 KISA, 개인정보보호 상담 사례집에서 각종 유형 소개 신분증 촬영 등 주민등록번호 관련 잘못된 관행 여전 지난봄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한 A씨는 관리사무소에서 ‘무조건 주민등록번호와 직장 정보를 써내야 한다’는 직원과 한창 실랑이를 벌여야 했다. 민감한…